코이_CO2
LIVING IS DYING
코이_CO2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45)
    • TIL ⚓️ (4)
      • OT주차 (1)
      • 1주차_풀스택 미니 프로젝트 (0)
      • 1주차_언어 기초(Java) (0)
      • 2주차_프로그래밍 기초 (1)
      • 3주차_주특기 입문(Spring) (0)
      • 4주차_주특기 숙련(Spring) (2)
    • WIL ⚓️ (0)
      • OT주차 (0)
      • 1주차_언어 기초(Java) (0)
      • 2주차_프로그래밍 기초 (0)
      • 3주차_주특기 입문(Spring) (0)
      • 4주차_주특기 숙련(Spring) (0)
    • Java의 정석 📖 (4)
      • Chapter 1. 자바를 시작하기 전에 (3)
      • Chapter 2. 변수 (0)
      • Chapter 3. 연산자 (0)
      • Chapter 4. 조건문과 반복문 (1)
    • Programmers (7)
      • Lv. 1 (7)
    • 혼자 공부하는 자바 📖 (8)
      • Chapter 05 참조 타입 (0)
      • Chapter 06 클래스 (3)
      • Chapter 07 상속 (1)
      • Chapter 08 인터페이스 (1)
      • Chapter 09 중첩 클래스 & 인터페이스 (0)
      • Chapter 10 예외 처리 (1)
      • Chapter 12 스레드 (1)
    • Java (2)
    • Spring (1)
    • Python (2)
    • Mysql (4)
    • Machine Learning (6)
      • 추측 통계 (2)
    • Data Analysis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jwt
  • sql
  • 항해99
  • 하루기록
  • 개발자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자바
  • programmers
  • LV1
  • 코딩
  • 혼자 공부하는 자바
  • 혼자공부하는자바
  • TIL
  • PYTHON
  • 배열
  • java
  • 파이썬
  • 주특기 심화주차
  • 스프링
  • 스터디
  • HTML
  • TIL/WIL
  • CRUD
  • 부트스트랩
  • 개발일지
  • Spring Security
  • 웹개발 종합반
  • DTO
  • spring
  • 게시판 프로젝트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코이_CO2
Python

Python 문법(1)

Python 문법(1)
Python

Python 문법(1)

2022. 7. 21. 00:32

00. Jupyter Notebook 단축키

1. 단축키

- Shift + Enter : 실행
- Alt + Enter : 실행후에 셀이 추가
- a : 위로 셀이 추가
- b : 아래로 셀이 추가
- m : 마크다운 모드로 변경
- y : 코드 모드로 변경
- x : 셀이 삭제
- dd : 셀이 삭제
- Ctrl + Shift + '-' :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셀이 나뉨
- Shitf + 'M' : 선택된 셀들이 병합
- Esc : 에디터모드에서 셀 포커스 모드

- Enter : 셀 포커스 모드에서 에디터 모드

- Ctrl + / : 셀(에디터 모드) 편집 영역에서 선택된 코드를 주석/비주석 처리

- 상/하 방향키 : 명령 모드에서 셀 간의 상/하 이동

 

2. Markdown : 문서 작성

 

- 마크다운(markdown)은 일반 텍스트 기반의 "경량" 마크업 언어

-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, "일반" 마크업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간단한 것이 특징

- HTML과 리치 텍스트(RTF) 등 서식 문서로 쉽게 변환되기 때문에 

- 응용 소프트웨어와 함께 배포되는 READ ME 파일이나 온라인 게시물 등에 많이 사용

 

사용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쉽고 간단하지만 어느정도 문법은 알아야 한다.

아래 링크를 통해 참고할 수 있다.

 

 Markdown Cheet sheet | Markdown Guide (클릭 시 이동)

 

Markdown Cheat Sheet | Markdown Guide

A quick reference to the Markdown syntax.

www.markdownguide.org

 

 

01. 숫자 계산

# 덧셈 : +

1 + 1

2

 

# 뺄셈 : -

2 - 1

1

 

# 곱셈 : *

2 * 3

6

 

# 나눗셈 : /

5 / 2

2.5

 

# 몫 : //

5 // 2   # 5를 2로 나눴을 때의 몫

2

 

# 나머지 : %

5 % 2   # 5를 2로 나눴을 때의 나머지

1

 

# 제곱 : **

2 ** 10   # 2의 10 제곱

1024

 

연산자 기호 의미 예 결과
+ 더하기 5+2 7
- 빼기 5-2 3
* 곱하기 5*2 10
/ 나누기 5/2 2.5
** 거듭제곱 5**2 10
% 나머지 5%2 1
// 몫 5//2 2

 

 

02. Type

# int(정수, integer의 줄임)

a = 2
print (type(a))

<class 'int'>

 

# float(실수, floating point number의 줄임)

b = 2.5
print (type(b))

<class 'float'>

 

# str(문자열, string의 줄임)

c = '10'  # ''을 통해 문자열로 인식
print (type(c))

<class 'str'>

 

# type casting(타입 변환)

# 실수형으로 변환
a = 2
a = float(a)
a

2.0

 

# 정수형으로 변환
b = 2.5
b = int(b)
b

2

 

# 문자열로 변환
c = 10
c = str(c)
c

'10'

 

# 문자열에서 int 또는 float으로의 변환 : ''안이 숫자일 때만 가능
d = 'hello world'
d = int(d)   # 혹은 d = float(d)
d

Error

 

 

03. 할당 연산자와 비교 연산자

# 할당 연산자 : =

- ' = ' 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할당

- 영문, 숫자를 함께 사용 가능- 대소문자를 구분- 할당할 값의 개수를 맞춰야 하고 개수가 맞는다면 순서대로 값을 할당- 각 변수에 값을 지정하여 변수끼리 값을 맞바꿀 수 있음

a = 3   # 오른쪽에 있는 3 이라는 값을 왼쪽 a 에 할당
a

3

 

a2 = 4   # a2에 4를 할당
a2

4

 

A2 = 10   # A2에 10을 할당
A2

10

 

a, b, c = 10, 20   # 좌측의 변수와 우측의 값의 개수가 맞지 않음

Error

 

a, b = 10, 20   # a에는 10, b에는 20을 할당
a

10

 

a, b = 10, 20   # a에는 10, b에는 20 할당
b, a   # b는 20, a는 10 이므로 b에는 20, a에는 10이 출력된다

(20, 10)

 

a, b = 5, 7   # a에는 5, b에는 7 할당
a, b = b, a   # a에는 b값인 7이 b에는 a값인 5로 서로 맞바꿈
a, b

(7, 5)

 

 

# 비교 연산자 : ==, !=, <, >, <=, >=

- ' == ' 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

- 값이 같으면 True, 다르면 False를 출력

a2 = 10
A2 = 20
a2 == A2

False

 

b1 = 5
c3 = 5
b1 == c3

True

 

a = 3
a == 3

True

 

a = 3
a == 5

False

 

3 != 4

True

 

 

# 사용 불가

- 숫자로 시작하는 변수  ex) 5a

- 특수문자  ex) $a

- python에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  ex) if, for, and, or, while 등등..

for = "hello"

Error

비교 연산자 의미 예 설명
== 같다 a == b a는 b와 같다
!== 같지 않다 a !== b a는 b와 같지 않다
< 작다 a < b a는 b보다 작다
> 크다 a > b a는 b보다 크다
<= 작거나 같다 a <= b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
>= 크거나 같다 a >= b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ython의 개요  (1) 2022.07.18
  • 00. Jupyter Notebook 단축키
  • 01. 숫자 계산
  • 02. Type
  • 03. 할당 연산자와 비교 연산자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Python의 개요
코이_CO2
코이_CO2
나에게 찾아오는 뻔한 매일을 언제나 값지게 여길 줄 아는 내가 되기를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